2025년 근로·자녀장려금 지급일과 금액, 지금 확인하세요
2025년 8월,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을 기다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매년 지급 시기가 되면 "언제 들어오나요?"라는 질문이 폭주하는데요. 올해는 자동신청 범위 확대, 소득 기준 변경 등 변화가 많아 더 주목되고 있습니다. 지급일은 언제인지,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내 상황엔 해당되는지를 지금부터 간단하게 정리해드릴게요.
근로장려금 지급일은 언제부터?
올해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은 2025년 8월 말부터 순차적으로 지급됩니다. 법적으로는 9월 30일까지 지급 완료가 마감이에요.
정기 신청자라면 5월 1일부터 6월 2일 사이에 신청을 완료한 분들이 해당되며, 심사 완료 순서에 따라 지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날짜는 사람마다 달라질 수 있어요.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에서
"마이홈택스 → 장려금 지급 내역 조회"
메뉴를 통해 지급 여부 확인이 가능합니다.
올해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가구 유형별 금액
장려금은 가구 유형에 따라 최대 금액이 달라요. 소득이 높을수록 줄어드는 구조이기 때문에 참고하세요.
가구 유형 최대 금액 총소득 기준 범위
단독가구 | 165만 원 | 400만 원 ~ 900만 원 |
홑벌이가구 | 285만 원 | 700만 원 ~ 1,400만 원 |
맞벌이가구 | 330만 원 | 800만 원 ~ 1,700만 원 |
자녀장려금은 부양 자녀 1인당 최대 100만 원이지만,
총소득과 재산 기준에 따라 달라지니 아래도 확인해주세요.
재산 기준도 중요! 감액 또는 제외될 수도 있어요
소득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재산 요건이에요.
재산 범위 장려금 반영 상태
1억 7천만 원 미만 | 전액 지급 가능 |
1억 7천만 원 이상 ~ 2억 4천만 원 | 50% 감액 지급 |
2억 4천만 원 이상 | 지급 대상 제외 |
즉, 내 재산이 많다면 장려금이 줄거나 못 받을 수도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2025년부터 바뀐 소득 기준, 나도 해당될까?
2025년에는 일부 소득 기준이 변경됐어요. 특히 맞벌이 가구는 조건이 완화되어 더 많은 분들이 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
가구 유형 소득 기준 변경 전 변경 후
단독가구 | 동일 (2,200만 원 미만) | 동일 |
홑벌이가구 | 동일 (3,200만 원 미만) | 동일 |
맞벌이가구 | 3,800만 원 미만 | 4,400만 원 미만으로 완화 |
자녀장려금은 여전히 부부합산 7,000만 원 미만이어야 해요.
손택스 앱에서 '장려금 미리 계산하기' 기능을 활용하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요.
자동신청제도, 올해부터 달라졌어요!
이제 장려금도 '자동으로' 받을 수 있는 시대!
기존엔 고령자(60세 이상)나 중증장애인만 자동 신청 대상이었지만,
2025년부터는 더 많은 분들이 자동 신청 대상이 될 수 있어요.
올해 신청할 때 ‘자동 신청 동의’를 체크만 해두면,
앞으로 2년간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심사로 편하게 받을 수 있어요.
직장 다니다가 깜빡하기 쉬운 분들에게 정말 유용합니다.
기한 후 신청은 가능하지만, 감액 주의!
혹시 정기 신청 기간(5월 1일 ~ 6월 2일)을 놓쳤다면?
기한 후 신청이 11월 30일까지 가능해요.
하지만! 기한 후 신청은 10% 감액된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늦더라도 꼭 신청은 해두시는 게 좋습니다.
홈택스에서 바로 확인하는 꿀팁
장려금이 언제 들어오는지 매일 기다리기보다,
홈택스나 손택스 앱에서 직접 조회하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마이홈택스 → 장려금 지급 내역 조회’에서
지급 예정일과 심사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앱은 미리 다운받아두는 게 진짜 편해요!
모두모두 정부에서 지원하는 이런 혜택은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